가솔린
가솔린(Gasoline)은 석유에서 얻어지는 휘발성 액체 연료의 일종입니다. 주로 내연 기관, 특히 자동차 엔진의 연료로 사용됩니다. 과거에는 휘발유(揮發油)라는 명칭으로도 불렸으나, 현재는 가솔린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됩니다.
특성
가솔린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혼합물로, 탄소수 4개에서 12개 사이의 분자들로 구성됩니다. 주요 성분은 파라핀계 탄화수소, 나프텐계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입니다. 가솔린은 휘발성이 매우 높아 상온에서 쉽게 증발하며,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적인 연소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내연 기관의 연료로 적합합니다.
제조 과정
가솔린은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생산됩니다. 원유를 증류하여 얻은 여러 종류의 탄화수소 혼합물 중, 가솔린에 적합한 범위의 끓는점을 가진 유분을 분리해냅니다. 이후, 옥탄가를 높이기 위한 개질(改質, reforming) 과정, 불순물 제거 과정 등을 거쳐 최종 제품이 생산됩니다.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도 합니다.
옥탄가
가솔린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는 옥탄가(Octane number)입니다. 옥탄가는 가솔린이 노킹(knocking, 이상 연소)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옥탄가가 높을수록 고급 가솔린으로 분류됩니다. 자동차 제조사는 차량 엔진의 성능에 맞춰 적절한 옥탄가의 가솔린을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
환경 문제
가솔린 연소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질소 산화물(NOx),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등은 스모그를 유발하고,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가솔린의 황 함량을 줄이고, 배기가스 저감 장치를 장착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에탄올과 같은 대체 연료를 가솔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