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성
통성(通聲)은 목청을 돋우어 소리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연극, 창극, 판소리 등 전통 공연 예술에서 발성 기법의 하나로 사용되며, 듣는 이에게 명확하고 강렬하게 내용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요
통성은 단순히 큰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호흡, 발성, 공명 기관을 조절하여 만들어내는 기술적인 발성법이다. 효과적인 통성을 위해서는 충분한 복식호흡과 정확한 발음, 그리고 풍부한 성량 조절 능력이 요구된다. 공연자는 극의 분위기와 내용에 맞춰 통성의 강약과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감정 표현을 극대화하고, 관객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특징
- 명료성: 통성은 소리가 또렷하고 명확하게 전달되어 가사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강렬함: 큰 성량을 통해 극적인 긴장감을 고조시키거나 감동을 극대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 전달력: 넓은 공간에서도 소리가 잘 전달되어 많은 관객에게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활용
통성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된다.
- 극적인 장면: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거나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는 장면에서 감정을 폭발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독백: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강렬하게 드러내는 독백 장면에서 감정 이입을 돕는다.
- 군중 장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외치는 장면에서 통성을 사용하여 웅장함과 박진감을 더한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각종 공연 예술 관련 서적 및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