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64건

중환자실

중환자실 (重患者室)은 생명 유지 장치, 집중적인 모니터링 및 전문 의료진을 통해 중증 환자를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는 병원 내 특수 시설이다. 일반 병실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 즉 생명이 위독하거나 잠재적인 위험성이 높아 지속적인 관찰과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환자들이 입원한다.

개요

중환자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장기 기능 부전이 발생하거나, 심각한 외상, 대수술 후 회복 과정에 있는 환자들을 위해 마련된다.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인공호흡기, 혈액 투석기, 심폐 보조 장치 (ECMO)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생명 유지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가 이루어지며, 환자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안정에도 힘쓴다.

주요 기능 및 특징

  • 집중적인 모니터링: 심전도, 혈압, 산소 포화도, 호흡수, 체온 등 환자의 활력 징후를 24시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기록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 생명 유지 장치 지원: 인공호흡기를 통해 호흡 기능을 지원하고, 혈액 투석기로 신장 기능을 대체하며, 심폐 보조 장치를 통해 심장과 폐 기능을 보조하는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를 제공한다.
  • 전문 의료진: 중환자 의사, 중환자 간호사, 호흡기 치료사, 약사, 영양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한다. 특히, 중환자 간호사는 일반 간호사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요구하며, 환자 1~2명당 1명의 간호사가 배치되어 집중적인 간호를 제공한다.
  • 감염 관리: 감염 위험이 높은 중환자들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 시스템을 운영한다. 손 위생, 격리, 소독 등 감염 예방 수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환자 및 의료진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한다.
  • 윤리적 고려: 생명 유지 치료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 (예: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해 환자 가족과 충분히 상의하고, 환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노력한다.

입원 대상

  • 심부전, 급성 호흡 부전, 패혈증 등 생명이 위독한 상태의 환자
  • 교통사고, 추락 사고 등 심각한 외상 환자
  • 뇌졸중, 심근경색 등 응급 질환 환자
  • 대수술 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
  • 장기 이식 환자

관련 용어

  • 중환자 의학
  • 집중 치료
  • 인공호흡기
  • 혈액 투석
  • 심폐 보조 장치 (ECMO)
  • 중환자 간호

참고 문헌

  • 대한중환자의학회
  • 미국중환자의학회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