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품
재고품이란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품, 제품, 반제품, 원재료, 저장품 등의 자산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유통 과정에서 판매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품 전체를 포괄하며, 좁은 의미로는 장기간 판매되지 않아 가치가 하락한 상품을 지칭하기도 한다. 재고품은 기업의 자산으로 분류되지만, 과도한 재고는 보관 비용, 관리 비용, 진부화 위험 등을 증가시켜 기업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고품의 종류
재고품은 그 성격과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상품: 외부에서 구매하여 재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
- 제품: 제조 과정을 거쳐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재고.
- 반제품: 제조 과정 중에 있으며, 추가적인 공정을 거쳐 제품이 되어야 하는 재고.
- 원재료: 제품 생산에 투입될 예정인 재고.
- 저장품: 소모품, 수선용 부품 등 생산 활동에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재고.
- 불량 재고: 품질 기준에 미달하여 판매가 불가능하거나, 수리를 거쳐야 판매가 가능한 재고.
- 진부화 재고: 유행이 지났거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판매가 어려운 재고.
- 정상 재고: 품질 및 시장성이 양호하여 판매 가능한 재고.
재고품 관리의 중요성
효율적인 재고품 관리는 기업의 수익성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함으로써 고객의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생산 차질을 방지하며,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재고품 관리는 수요 예측, 발주량 결정, 보관 방법, 재고 추적 시스템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다.
재고품 관련 용어
- 재고 자산: 회계상 재고자산은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생산 과정에 있는 자산을 의미하며, 유동 자산으로 분류된다.
- 재고 회전율: 재고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판매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적정 재고: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재고 유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재고 수준.
- 안전 재고: 예상치 못한 수요 변동이나 공급 차질에 대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보유하는 재고.
같이 보기
- 물류 관리
- 공급망 관리
- 수요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