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95건

유상곡수

유상곡수(流觴曲水)는 술잔을 물에 띄워 보내고, 그 술잔이 자기 앞에 올 때 시를 짓는 놀이 또는 그러한 연회를 뜻한다.

개요

유상곡수는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보내고, 그 술잔이 자기 앞에 도착하면 시를 짓거나 술을 마시는 풍류 놀이이다. 주로 굽이굽이 흐르는 시냇가에서 행해졌으며, 시를 짓지 못하면 벌주를 마시는 규칙이 따르기도 했다.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 전파되었다.

기원 및 역사

유상곡수의 기원은 중국 진(晉)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희지(王羲之) 등이 난정(蘭亭)에서 유상곡수를 즐기며 지은 시를 모아 ‘난정집서(蘭亭集序)’를 남긴 것이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신라 시대에 포석정(鮑石亭)에서 유상곡수를 즐겼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도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유상곡수를 즐기며 풍류를 즐겼다.

유상곡수의 요소

  • 곡수(曲水): 굽이굽이 흐르는 시냇물.
  • 상(觴): 술잔.
  • 시(詩): 즉흥적으로 짓는 시.
  • 흥취(興趣): 자연을 즐기며 풍류를 즐기는 마음.

문화적 의미

유상곡수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자연과 교감하며 시와 술을 즐기는 풍류 정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유상곡수를 통해 문인들의 교류를 촉진하고, 예술적 영감을 얻는 기회로 삼았다. 또한, 자연 속에서 여유를 즐기며 심신을 수양하는 방법으로도 여겨졌다.

관련 유적

  • 포석정(鮑石亭): 경주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유상곡수 유적.
  • 난정(蘭亭):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왕희지의 난정집서가 쓰여진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