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우물

우물은 지하수를 끌어올려 식수나 생활 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땅을 파서 만든 시설이다.

개요

우물은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용해 온 가장 오래된 수원(水源) 중 하나이다. 지하수를 직접 취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호수와 같은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가뭄에도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하수의 오염 가능성, 수량의 제한 등 단점도 존재한다.

역사

우물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고대 문명 발생지에서부터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등지에서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우물을 이용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물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 기록에도 우물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특히 신라 시대에는 '이궁(離宮) 우물'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우물이 존재했으며, 이는 왕실의 식수 공급을 위한 시설로 추정된다.

구조 및 종류

우물의 구조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우물통: 우물의 벽을 보호하고 무너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나무, 돌, 옹기 등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나, 현대에는 콘크리트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 두레박/펌프: 물을 끌어올리는 장치이다. 과거에는 두레박을 사용했으나, 현대에는 펌프를 주로 사용한다.
  • 덮개: 우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를 설치하기도 한다.

우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재래식 우물: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든 우물로, 주로 두레박을 사용하여 물을 끌어올린다.
  • 펌프 우물: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우물이다.
  • 관정(管井): 땅속 깊이 관을 박아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우물이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는 상수도 시설의 보급으로 우물의 사용 빈도가 크게 줄었으나, 여전히 농촌 지역이나 상수도 시설이 미비한 지역에서는 식수 또는 생활 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우물은 과거 생활상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우물을 복원하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관련 속담 및 표현

  • 우물 안 개구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좁은 식견을 가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우물에서 숭늉 찾는다: 터무니없는 데서 보람을 찾으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디지털향토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