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177건

쓸개주머니관

쓸개주머니관은 쓸개(담낭)와 온간관(총간관)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쓸개관(담낭관)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관은 쓸개즙(담즙)이 간에서 생성되어 온간관을 통해 내려오다가 쓸개에 저장되거나, 쓸개에 저장된 쓸개즙이 필요할 때 십이지장으로 배출될 때 통과하는 중요한 경로의 일부입니다.

구조 및 해부학 쓸개주머니관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약 2~4cm이며 지름은 약 3mm 정도입니다. 쓸개의 목 부분(neck of the gallbladder)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온간관과 합류하여 온쓸개관(총담관, common bile duct)을 형성합니다. 쓸개주머니관의 내부 점막에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주름인 플리스테르 판막(Heister's valves, 나선 판막)이 있습니다. 이 판막의 기능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쓸개즙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쓸개주머니관의 확장 및 수축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기능 쓸개주머니관의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쓸개즙 저장: 간에서 생성된 쓸개즙은 온간관을 통해 흐르다가, 쓸개주머니관을 통해 쓸개로 들어가 저장됩니다.
  2. 쓸개즙 배출: 식사 후 지방 소화를 위해 쓸개즙이 필요할 때, 쓸개가 수축하고 쓸개에 저장되었던 쓸개즙이 쓸개주머니관을 거쳐 온쓸개관으로 배출된 후 십이지장으로 이동합니다.

즉, 쓸개주머니관은 쓸개와 온쓸개관 사이에서 쓸개즙의 왕래를 가능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임상적 중요성 쓸개주머니관은 쓸개돌(담석)이 가장 흔하게 박히는 위치 중 하나입니다. 쓸개돌이 쓸개주머니관을 막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쓸개주머니염(담낭염): 쓸개즙의 배출이 막히면서 쓸개 내 압력이 높아지고 염증이 발생합니다. 심한 복통(특히 오른쪽 윗배), 발열,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쓸개돌산통(담석산통): 쓸개돌이 쓸개주머니관을 일시적으로 막았다가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심한 통증입니다.
  • 폐쇄성 황달: 드물게 쓸개돌이 쓸개주머니관을 통과하여 온쓸개관까지 내려가 온쓸개관을 막으면, 쓸개즙 배출 경로가 완전히 차단되어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쓸개주머니관의 이상은 쓸개 질환 및 담도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진단 및 치료 시 고려되는 주요 부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