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수
상록수는 잎이 1년 내내 푸르게 유지되는 나무와 관목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낙엽수와는 달리, 상록수는 잎이 한 번에 모두 떨어지지 않고, 수년에 걸쳐 서서히 교체된다. 이는 상록수가 일년 내내 광합성을 할 수 있게 해주어, 생장 기간이 짧거나 환경 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생존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특징
- 잎의 수명: 상록수의 잎은 보통 1년 이상, 길게는 수년 동안 나무에 달려있다.
- 잎의 형태: 잎의 형태는 다양하며, 바늘 모양, 비늘 모양, 넓은 잎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잎의 표면은 왁스층으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아 수분 증발을 막고 건조한 환경에 잘 적응한다.
- 분포: 상록수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추운 지역에서도 일부 상록수 종은 혹독한 겨울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다.
- 생태적 중요성: 상록수는 다양한 야생 동물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며, 대기 정화에 기여하는 등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경제적 중요성: 상록수는 목재, 건축 자재, 종이, 약용 물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관상수로도 널리 재배된다.
주요 상록수 종
- 침엽수: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향나무 등
- 활엽수: 동백나무, 사철나무, 호랑가시나무, 월계수 등
기타
상록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푸른 잎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영원함", "불변함", "생명력"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는 문학 작품이나 예술 작품에서 상징적인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