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193건

삼부

삼부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1. 역사:

    • 고대 국가의 행정 구역: 고대 사회, 특히 초기 국가 형태에서 나타나는 행정 구역 체계의 하나입니다. 중앙의 권력이 미치지 못하는 변방 지역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특정 부족이나 세력이 자치적으로 통치하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부여의 경우, 사출도(四出道)라고 하여, 중앙의 왕이 직접 통치하는 지역 외에 도(道)라는 행정 구역을 두어 각기 다른 부족장에게 통치를 맡겼는데, 이러한 도(道)가 삼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고구려의 계루부, 소노부, 절노부, 순노부, 관노부: 고구려 건국 초기에 존재했던 다섯 부족 중 왕족인 계루부를 제외한 나머지 네 부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5부로 통칭되나, 왕족인 계루부를 제외하면 나머지 4부를 말할 때 삼부라는 표현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부족들은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거나 정치적인 연합을 통해 고구려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2. 불교:

    • 삼부경(三部經): 불교에서 중요한 세 가지 경전을 묶어 부르는 말입니다. 주로 《법화경》, 《화엄경》, 《열반경》을 가리키지만, 종파나 시대에 따라 다른 경전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이 경전들은 대승 불교의 핵심 사상을 담고 있으며, 불교 수행의 지침이 됩니다.
  3. 기타:

    • 일상 생활에서 '세 부분' 또는 '세 묶음'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명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부로 나누어 진행한다" 와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