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845건

보리도차제론

보리도차제론 (菩提道次第論)은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창시자인 라마승 종카파(Tsongkhapa, 1357-1419)가 저술한 불교 수행론서이다. ‘깨달음에 이르는 단계별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붓다의 가르침 전체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수행자가 점진적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보리도차제론은 소승, 대승, 금강승의 수행 단계를 아우르며, 삼사도(三士道, three levels of beings)라는 독특한 구조를 통해 수행자의 동기 부여와 수행 목표를 명확히 제시한다. 삼사도는 하사도(下士道), 중사도(中士道), 상사도(上士道)로 구성된다.

  • 하사도 (Lower Scope): 현세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단계를 벗어나 내생의 더 나은 삶을 목표로 하는 단계이다. 업과 업보의 법칙, 윤회의 고통 등을 이해하고 악행을 멀리하며 선행을 쌓도록 이끈다.
  • 중사도 (Middle Scope):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개인적인 해탈을 목표로 하며, 사성제, 팔정도 등을 통해 고통의 원인을 제거하고 해탈을 얻는 방법을 제시한다.
  • 상사도 (Higher Scope):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하고자 하는 보리심을 일으키는 단계이다. 이타심을 바탕으로 보살도를 실천하며, 깨달음을 얻어 모든 중생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리도차제론은 각 단계별 수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지혜와 자비를 균형있게 발전시키는 것을 강조한다. 겔룩파에서는 중요한 교과서로 여겨지며, 티베트 불교 수행의 핵심적인 지침서 역할을 한다.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불교 수행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