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관자
방관자 (旁觀者)는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곁에서 지켜보기만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특히 위급 상황 발생 시 주변 사람들의 무관심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때 자주 등장한다.
어원
'방관자'는 곁을 뜻하는 '방(旁)'과 본다는 의미의 '관(觀)' 그리고 사람을 뜻하는 '자(者)'가 결합된 단어이다. 즉, 옆에서 지켜보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회적 의미
방관자 효과는 사회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위급 상황 발생 시 주변에 사람이 많을수록 개인이 도움을 줄 가능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는 책임 분산, 군중심리, 상황의 모호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방관자 효과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감과 적극적인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윤리적 문제
방관은 도덕적 딜레마를 야기하기도 한다.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위험 회피, 무관심, 또는 상황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해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 것은 윤리적으로 비판받을 수 있다.
관련 개념
- 방관자 효과 (Bystander effect): 위급 상황 발생 시 주변에 사람이 많을수록 개인이 도움을 줄 가능성이 낮아지는 현상.
- 책임 분산 (Diffusion of responsibility): 주변에 다른 사람들이 있을 때, 개인이 느끼는 책임감이 분산되는 현상.
- 집단사고 (Groupthink): 집단 내에서 비판적인 사고를 억압하고, 만장일치를 추구하는 경향.
같이 보기
- 사회심리학
- 도덕
-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