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명
망명(亡命, Exile)은 자국 정부의 박해, 탄압, 위협 등을 피해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외국으로 피신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한다. 망명은 정치적, 종교적, 인종적, 사상적 이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개요
망명은 단순히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망명은 생명, 자유, 안전 등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자국을 떠나는 경우에 해당한다. 망명자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난민으로 간주되며, 국제법과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역사
역사적으로 망명은 고대부터 존재해왔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정치적 이유로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박해를 피해 망명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근대 이후에는 혁명, 전쟁, 독재 정권 등으로 인해 대규모 망명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전체주의 국가의 등장과 함께 정치적 망명이 더욱 심화되었다.
망명의 종류
- 정치적 망명: 정치적인 신념이나 활동으로 인해 박해를 받는 경우
- 종교적 망명: 종교적인 신앙으로 인해 박해를 받는 경우
- 인종적 망명: 인종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는 경우
- 사상적 망명: 사상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는 경우
망명자의 지위
망명자는 망명국의 법률에 따라 다양한 지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망명자는 난민으로 인정받아 보호를 받거나, 임시 체류 허가를 받아 망명국에 거주할 수 있다. 망명자는 망명국에서 교육, 의료, 취업 등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기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관련 용어
- 난민 (Refugee): 박해를 피해 국경을 넘은 사람
- 정치적 난민 (Political Refugee):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는 난민
- 망명 정부 (Government in exile): 자국을 점령당하거나 통치권을 상실한 정부가 외국에서 수립한 정부
- 추방 (Deportation): 외국 정부가 외국인을 강제로 자국에서 내보내는 행위
참고 문헌
- 국제연합 난민기구 (UNHCR)
- 각국 난민 관련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