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2,065건

단기지계

단기지계(短朞之計)는 눈앞의 이익만을 좇아 세우는 짧은 계획이나 얕은꾀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멀리 내다보지 못하고 당장의 어려움만 모면하려 하는 임시방편적인 계책을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된다.

유래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등 여러 역사서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전국시대, 진(秦)나라가 다른 나라들을 침략하며 세력을 확장할 때, 각국은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모색했다. 이때, 일부 국가들은 진나라의 공격을 잠시 늦추기 위해 뇌물을 바치거나 일시적인 화친을 맺는 등의 단기적인 계책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행위를 비판하며 단기지계라는 표현이 등장하게 되었다.

의미와 용례

단기지계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예를 들어, 기업이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품질을 낮추거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행위, 정부가 표를 얻기 위해 무리한 정책을 추진하는 행위 등이 단기지계에 해당될 수 있다.

반대말 및 유사어

  • 원대한 계획: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를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
  • 장기지계(長期之計): 멀리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
  • 미봉책(彌縫策): 당장의 어려움만 덮어두는 임시방편적인 계책

참고 문헌

  • 김원중, 《고사성어》, 신원문화사, 2002.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