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선호 사상
남아 선호 사상은 자녀 중 아들을 딸보다 선호하는 사회적 경향이나 사상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농업 사회나 가부장제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동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문화권에서 뿌리 깊게 자리 잡아왔다. 주요 원인으로는 가문의 대를 잇고 제사를 지낼 후계자의 필요성, 농경 사회에서의 노동력 제공, 부모의 노후 부양 문제, 딸보다 아들을 통한 사회적 지위 유지 또는 상승 기대, 상속 문제 등이 꼽힌다. 특히 유교 문화권에서는 가계 계승과 조상 숭배의 중요성이 남아 선호 사상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남아 선호 사상은 다양한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여아 낙태나 영아 살해, 딸에 대한 교육 기회 및 자원 차별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현대에는 성비 불균형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이는 다시 결혼 문제, 사회 안전망 구축 필요성 증가 등 여러 사회적 문제를 파생시킨다.
산업화, 도시화, 여성 교육 수준 향상, 양성평등 의식 확산,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남아 선호 사상은 과거에 비해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지역이나 계층에서는 잔존하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