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7,261건

교육공무직원

교육공무직원은 대한민국 교육기관에서 교육공무원 외에 교육 활동 지원, 시설 관리, 행정 업무 지원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정의 및 특징:

  • 교육공무직원은 교육기관에 직접 고용되어 근무하며, 교육공무원 신분은 아니다.
  • 과거에는 '비정규직'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고용 안정성을 높이고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공무직원'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게 되었다.
  • 각 시·도 교육청별로 채용 및 관리하며, 직종, 임금, 근무 조건 등은 교육청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주요 직종으로는 교무행정사, 교육복지사, 사서, 조리사, 시설관리원, 과학실무원, 특수교육실무원, 상담사 등이 있다.

주요 역할:

  • 교육 활동 지원: 교사의 수업 준비 지원, 학생 상담 지원, 특별활동 지원 등
  • 행정 업무 지원: 학교 행정 업무 처리, 민원 응대, 회계 업무 등
  • 시설 관리: 학교 시설 유지 보수, 환경 정비, 안전 관리 등
  • 급식 관련 업무: 급식 조리, 배식, 위생 관리 등
  • 도서관 운영 지원: 도서 정리, 대출 반납, 독서 지도 등

법적 지위 및 처우:

  • 근로기준법 등 노동 관계 법령의 적용을 받는다.
  • 각 교육청별로 교육공무직원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정기적인 임금 인상, 수당 지급, 복지 혜택 제공 등을 통해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논란 및 과제:

  • 교육공무원과의 차별 문제, 고용 불안정 문제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교육공무직원의 전문성 강화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다.
  • 교육공무직원의 고용 안정성을 확보하고, 합리적인 처우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