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12건

공덕

공덕 (功德)은 불교 용어로, 선행이나 수행을 통해 쌓는 복덕(福德)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모든 종류의 이로운 행위와 그 결과로 얻어지는 긍정적인 힘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어원 및 의미

"공덕"이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구나'(guṇa, गुण)와 '푸냐'(puṇya, पुण्य)에 해당하는 한역어이다. '구나'는 본래 '실', '끈' 등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좋은 결과를 맺는 원인이 되는 행위를 뜻한다. '푸냐'는 '정화', '깨끗함' 등을 의미하며, 악업을 씻어내고 복을 가져다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공덕은 단순히 선행을 하는 것을 넘어, 그 행위를 통해 자신과 타인에게 이로움을 가져다주고, 나아가 깨달음에 이르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에서의 공덕

불교에서 공덕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기 위해서는 업(業)을 소멸하고 공덕을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공덕을 쌓는 방법은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보시 (布施): 재물, 지식, 두려움 없음 등을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행위.
  • 지계 (持戒): 계율을 지키고 나쁜 행위를 삼가는 행위.
  • 인욕 (忍辱): 어려움이나 고통을 참고 견디는 행위.
  • 정진 (精進): 끊임없이 노력하고 수행하는 행위.
  • 선정 (禪定): 마음을 집중하고 안정시키는 행위.
  • 지혜 (智慧): 진리를 깨닫고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능력.

이러한 행위를 통해 쌓은 공덕은 현세 뿐만 아니라 내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을 얻는 데 기여한다고 여겨진다.

공덕과 관련된 개념

  • 업 (業): 행위의 결과로 남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에너지.
  • 복덕 (福德): 복과 덕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공덕을 통해 얻는 이익이나 행운.
  • 선근 (善根): 착한 결과를 낳는 원인이 되는 선한 마음.

참고 문헌

  • 불교 대사전
  • 각 종 불교 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