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사정전
경복궁 사정전은 경복궁 내에 위치한 편전(便殿)으로, 왕이 평상시에 정사를 보고 신하들과 회의를 하던 곳이다. '사정(思政)'이라는 이름은 "정사를 생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왕이 항상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깊이 생각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사정전은 강녕전의 동쪽에 위치하며, 임금의 침전인 강녕전과 가까워 왕이 정무를 보기에 편리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건물로,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안에는 왕이 앉는 용상이 마련되어 있으며, 천장에는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희롱하는 한 쌍의 용 그림이 그려져 있다.
사정전 앞에는 넓은 뜰이 있으며, 뜰 좌우에는 문관과 무관이 각각 위치하는 동행각과 서행각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서 왕은 신하들과 함께 국정을 논의하고 정책을 결정했다. 특히, 세종 때에는 집현전 학자들이 이곳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다양한 정책을 건의하기도 했다.
사정전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다시 지어졌다. 현재의 건물은 이때 다시 세워진 것이다. 사정전은 경복궁의 주요 전각 중 하나로, 조선 시대 왕의 정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