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43건

환시

환시 (幻視, visual hallucination)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시각적 자극을 마치 실제처럼 느끼는 현상을 말한다. 즉,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인 이미지를 경험하는 것이다. 환각의 한 종류이며, 다른 감각에서의 환각(환청, 환촉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환시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정신 질환, 신경학적 질환, 약물 및 물질 남용, 기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 정신 질환: 정신분열증,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양극성 장애 등에서 환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시는 망상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신경학적 질환: 뇌졸중, 뇌종양, 퇴행성 뇌 질환(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간질, 편두통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이 환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후두엽 손상은 시각 처리 과정에 이상을 초래하여 환시를 일으키기 쉽다.
  • 약물 및 물질 남용: 알코올 금단 현상, 코카인, LSD, 마리화나 등 특정 약물이나 물질의 남용은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쳐 환시를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요인: 수면 박탈, 고열, 심한 스트레스, 감각 박탈 등도 일시적인 환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안과 질환(녹내장, 백내장 등)으로 인해 시력 저하가 심각한 경우에도 환시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

환시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단순한 빛이나 색깔에서부터 복잡한 이미지(사람, 동물, 풍경 등)까지 나타날 수 있다. 환시는 환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나타나며,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환시는 그 내용에 따라 환자에게 공포, 불안, 혼란 등의 감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진단 및 치료

환시의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청취, 신경학적 검사, 정신과적 평가 등이 필요하다. 뇌파 검사(EEG), 뇌 MRI, CT 촬영 등 영상 검사를 통해 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도 한다.

환시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다. 정신 질환으로 인한 환시의 경우, 항정신병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를 병행한다.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한 환시는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약물이나 물질 남용으로 인한 환시는 해당 물질의 사용을 중단하고, 필요에 따라 해독 치료를 받는다.

참고 문헌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 Goldman, D. (2017). Visual hallucinations. In M. Aminoff, F. Boller, & D. Swaab (Ed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Vol. 145, pp. 361-371). Elsev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