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시밀리
팩시밀리(facsimile)는 원거리에 있는 수신자에게 문서나 이미지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종이 문서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팩스(fax)라고 약칭된다.
작동 원리
팩시밀리는 문서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명암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전화선이나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수신 장치는 받은 디지털 신호를 다시 이미지로 변환하여 종이에 인쇄하거나 디지털 파일로 저장한다. 전송 방식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문서의 각 라인을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역사
팩시밀리 기술은 19세기 중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초기에는 전신 기술과 결합되어 사용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전화선을 이용한 팩시밀리가 보편화되어 문서 전송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인터넷과 이메일의 발달로 인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사용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종류
아날로그 팩시밀리와 디지털 팩시밀리로 나눌 수 있다. 아날로그 팩시밀리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초기 팩시밀리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디지털 팩시밀리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방식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고 화질이 우수하다.
장점 및 단점
장점:
- 비교적 간편한 문서 전송: 종이 문서를 직접 스캔하여 전송할 수 있다.
- 전용 통신망이 필요하지 않음: 일반 전화선이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 높은 신뢰도: 전송된 문서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일부 오류 수정 기능 포함)
단점:
- 전송 속도가 느림: 인터넷 이메일이나 파일 전송 방식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 보안성이 낮음: 전송 중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다.
- 사용 편의성 저하: 인터넷 기반 파일 전송 서비스에 비해 사용이 다소 복잡할 수 있다.
- 환경 문제: 종이 소모량 증가
현재 상황
인터넷과 이메일의 보편화로 인해 팩시밀리의 사용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업무 환경, 특히 법률, 의료, 금융 분야 등에서 중요한 문서 전송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서명과 같은 보안 기능이 강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다른 전자 문서 전송 시스템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