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272건

액티브 서스펜션

액티브 서스펜션 (Active Suspension)은 기존의 수동형 서스펜션 시스템에 전자 제어 기술을 결합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 승차감,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능동적인 서스펜션 시스템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서스펜션은 스프링과 댐퍼를 이용하여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지만, 액티브 서스펜션은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제어 장치가 댐퍼의 감쇠력, 스프링의 강성, 차고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한다.

액티브 서스펜션은 크게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센서: 차체의 움직임, 휠의 속도, 스티어링 휠 각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 전자 제어 장치 (ECU): 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서스펜션 제어 값을 계산한다.
  • 액추에이터: ECU의 제어 신호에 따라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하거나,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고를 조절한다.

액티브 서스펜션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행 중 노면의 불규칙성이나 급격한 조작으로 인해 차체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ECU에 정보를 전달한다. ECU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댐퍼의 감쇠력이나 스프링의 강성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능동적인 제어를 통해 액티브 서스펜션은 차체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액티브 서스펜션은 롤링(차체의 좌우 기울어짐), 피칭(차체의 앞뒤 기울어짐), 요잉(차체의 수평 회전) 등의 현상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급제동 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코너링 시 휠의 접지력을 최대화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티브 서스펜션은 기술적인 복잡성과 높은 비용으로 인해 고급차량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 발전과 함께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액티브 서스펜션의 종류로는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하는 CDC (Continuous Damping Control) 서스펜션,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을 사용하는 에어 서스펜션, 전자석을 이용한 자기 유동 서스펜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