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
사단칠정(四端七情)은 조선 시대 성리학의 주요 논쟁 주제 중 하나로, 인간 본성에 내재된 도덕적 감정인 사단(四端)과 일반적인 감정인 칠정(七情)의 관계 및 기원 문제를 다룬다. 이 논쟁은 주로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사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조선 성리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 사단(四端)
사단은 맹자가 제시한 개념으로, 인간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의 근거가 되는 네 가지 도덕적 마음의 싹을 의미한다.
- 측은지심(惻隱之心): 불쌍히 여기는 마음 (仁의 단서)
- 수오지심(羞惡之心):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義의 단서)
- 사양지심(辭讓之心): 사양하는 마음 (禮의 단서)
-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 (智의 단서)
사단은 선한 본성에서 발현되는 순수하고 도덕적인 감정으로 여겨진다.
2. 칠정(七情)
칠정은 《예기(禮記)》에 나오는 인간의 보편적인 일곱 가지 감정을 의미한다.
- 희(喜): 기쁨
- 노(怒): 분노
- 애(哀): 슬픔
- 락(樂): 즐거움
- 애(愛): 사랑
- 오(惡): 미움
- 욕(欲): 욕망
칠정은 선과 악의 가능성을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도덕적으로 발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3. 사단칠정 논쟁
퇴계 이황은 사단은 '이기지발(理氣之發)' 중 '이기발(理氣發)'로, 즉 리(理)가 발현된 것이고, 칠정은 '이기지발(理氣之發)' 중 '기발(氣發)'로, 즉 기(氣)가 발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사단은 순수하게 리에서 비롯된 선한 감정인 반면, 칠정은 기에서 비롯되어 선과 악의 가능성을 모두 가진 감정이라는 것이다.
고봉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 모두 '이기지발(理氣之發)'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발현되는 주체가 다르다고 보았다. 즉, 사단은 리가 주도적으로 발현된 것이고, 칠정은 기가 주도적으로 발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논쟁은 리와 기의 관계, 인간 본성의 근원, 그리고 도덕 수양의 방법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이후 조선 성리학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