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적 계급
분류학적 계급 (分類學的階級, taxonomic rank)은 생물 분류 체계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상대적인 수준을 의미한다. 생물 분류는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특정 분류학적 계급에 해당한다. 이러한 계급은 생물 간의 진화적 관계와 유사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요 분류학적 계급은 다음과 같다:
- 역 (域, Domain): 가장 높은 계급으로, 모든 생물을 세 개의 주요 그룹(세균역, 고세균역, 진핵생물역)으로 나눈다.
- 계 (界, Kingdom): 역 아래의 계급으로, 진핵생물을 동물계, 식물계, 균계 등으로 나눈다.
- 문 (門, Phylum): 계 아래의 계급으로, 동물을 척삭동물문, 절지동물문 등으로 나눈다.
- 강 (綱, Class): 문 아래의 계급으로, 척삭동물문을 포유강, 조강, 어강 등으로 나눈다.
- 목 (目, Order): 강 아래의 계급으로, 포유강을 영장목, 식육목 등으로 나눈다.
- 과 (科, Family): 목 아래의 계급으로, 영장목을 사람과, 고릴라과 등으로 나눈다.
- 속 (屬, Genus): 과 아래의 계급으로, 사람과를 사람속(Homo), 침팬지속(Pan) 등으로 나눈다.
- 종 (種, Species): 가장 낮은 계급으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이다.
위의 주요 계급 외에도, 필요에 따라 "아문(亞門, Subphylum)", "상강(上綱, Superclass)", "아과(亞科, Subfamily)" 등과 같은 중간 계급이 사용되기도 한다.
분류학적 계급은 생물의 진화적 관계를 이해하고, 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분류학적 계급의 정의와 사용은 분류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의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학문 분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