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은 희귀한 후천성 클론성 혈액 질환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구 세포 표면에 특정 단백질이 결핍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단백질 결핍은 보체계에 대한 세포의 민감성을 증가시켜, 보체 매개 용혈을 유발합니다. 즉, 자신의 면역 시스템이 자신의 혈구를 공격하여 파괴하는 것입니다.
원인
PNH는 PIG-A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PIG-A 유전자는 GPI 앵커라는 특정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고정하는 데 필요한 효소를 암호화합니다. PIG-A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GPI 앵커가 생성되지 않고, 따라서 CD55, CD59와 같은 보체 조절 단백질이 세포 표면에 부착되지 못합니다. 결과적으로 적혈구는 보체계의 공격에 취약해져 혈관 내에서 파괴됩니다. PNH는 유전되는 질환이 아니며, 후천적으로 발생합니다.
증상
PNH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용혈: 적혈구 파괴로 인한 빈혈, 피로, 쇠약, 황달, 어두운 소변(특히 야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전: 혈관 내 혈액 응고가 발생하여 뇌졸중, 심근경색, 폐색전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골수 부전: 골수 기능 저하로 인한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복통: 간혹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발기부전: 남성의 경우 발기부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PNH는 흐름 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혈구 세포 표면에 CD55, CD59와 같은 GPI 앵커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PNH 세포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혈액 검사, 골수 검사 등을 통해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을 확인하고, 다른 혈액 질환과의 감별 진단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PNH의 치료는 증상 완화 및 합병증 예방에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혈: 빈혈이 심한 경우 수혈을 통해 적혈구를 보충합니다.
- 면역억제제: 골수 부전이 동반된 경우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골수 기능을 개선합니다.
- 보체 억제제: 에쿨리주맙(Eculizumab), 라불리주맙(Ravulizumab)과 같은 보체 억제제는 보체계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용혈을 줄이고 혈전 발생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 조혈모세포 이식: 젊고 건강한 환자의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후
PNH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체 억제제와 같은 새로운 치료법의 등장으로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