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54건

무한증

무한증 (Hyperhidrosis)은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넘어 과도하게 땀을 분비하는 상태를 말한다. 땀은 체온 조절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무한증 환자는 온도나 활동 수준과 관계없이 지나치게 많은 땀을 흘려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분류 및 원인:

무한증은 크게 일차성 (특발성) 무한증과 이차성 무한증으로 나뉜다.

  • 일차성 무한증 (Primary Hyperhidrosis): 특정 부위, 특히 손, 발, 겨드랑이, 얼굴 등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신경계의 과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적인 요인이 관여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 이차성 무한증 (Secondary Hyperhidrosis): 갑상선 기능 항진증, 당뇨병, 감염, 비만, 종양, 폐경, 특정 약물 복용 등 기저 질환이나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무한증이다. 전신에 걸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증상:

무한증의 주요 증상은 과도한 땀 분비이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일상 생활의 불편함: 옷이 젖거나 땀으로 인해 미끄러움, 악취 등 발생
  • 사회생활의 어려움: 대인 관계 기피, 자신감 저하 등
  • 피부 문제: 습진, 무좀, 세균 감염 등

진단:

무한증 진단은 주로 환자의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땀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예: 전분-요오드 검사)도 사용될 수 있다. 이차성 무한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원인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치료:

무한증 치료는 증상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 보존적 치료:

    • 국소 도포제: 염화알루미늄 제제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땀샘을 막아 땀 분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 이온영동 치료: 물속에 손발을 담근 채 약한 전류를 흘려 땀샘 기능을 저하시키는 방법이다.
    • 보톡스 주사: 땀샘에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땀 분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주로 겨드랑이 무한증에 사용된다.
  • 수술적 치료:

    • 교감신경 절제술: 땀 분비를 조절하는 교감신경을 절단하는 수술이다. 효과가 좋지만, 보상성 다한증 (수술 부위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땀이 많이 나는 현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피하 땀샘 흡입술/절제술: 겨드랑이 부위에 땀샘을 제거하는 수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