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락
과락(過落)은 시험이나 평가에서 전체 평균 점수와 상관없이 특정 과목이나 영역에서 정해진 최소 점수 이상을 얻지 못하여 해당 과목에 불합격하는 것을 말한다. 영어로는 'subject failure'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개요 과락 제도는 응시자가 모든 필수 과목에서 기본적인 학업 능력이나 실무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단순히 전체 점수 합계만으로 합격자를 결정할 경우, 특정 과목에서 극히 낮은 점수를 받더라도 다른 과목 점수가 높으면 합격할 수 있어 해당 분야의 최소한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완한다.
적용 대상 및 기준 과락은 주로 다음과 같은 시험이나 평가에서 적용된다.
- 대학 강의 평가 및 학점 부여
- 각종 국가 자격증 시험 (예: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등)
- 공무원 임용 시험 (필기 시험 등)
- 일부 기업 채용 시험
과락 기준은 시험의 종류, 시행 기관, 과목 성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가장 흔한 기준은 해당 과목 만점의 일정 비율(예: 40% 또는 50%) 미만을 득점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100점 만점인 과목에서 40점 미만을 받으면 과락이 될 수 있다. 과락 기준 점수는 시험 공고나 학칙 등에 명시된다.
결과 과락한 과목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 다른 과목에서 아무리 높은 점수를 받아 전체 평균 점수가 합격선이나 일정 기준을 넘더라도 최종적으로 불합격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과목만 재수강하거나 재시험을 볼 기회가 주어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중요한 자격/채용 시험에서는 과락은 곧 전체 불합격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