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642건

하인리히 브뤼닝

하인리히 브뤼닝 (Heinrich Brüning, 1885년 11월 26일 ~ 1970년 3월 30일)은 독일의 정치인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총리였다. 가톨릭 중앙당 소속으로, 대공황 시기에 긴축 정책을 추진하여 큰 사회적 반발을 샀다.

생애

하인리히 브뤼닝은 뮌스터 대학교와 본 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경제학을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가톨릭 노동조합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24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29년에는 중앙당 원내대표가 되었다.

1930년 3월, 헤르만 뮐러 총리의 사임 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브뤼닝은 대공황의 여파로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했고, 정부 지출을 삭감하고 세금을 인상하는 긴축 정책을 시행했다. 이는 실업률 증가와 사회적 불만을 야기했으며, 나치당과 공산당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브뤼닝은 또한 힌덴부르크 대통령에게 긴급명령권을 이용하여 의회를 우회하며 정책을 추진하도록 요청했다. 1932년, 브뤼닝은 동프로이센 지역의 몰락한 귀족 영지를 국유화하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이는 힌덴부르크 대통령의 반발을 샀고, 결국 1932년 5월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브뤼닝은 이후 독일을 떠나 미국과 영국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로 돌아왔으나, 정치 활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1970년 사망했다.

평가

하인리히 브뤼닝은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총리로서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다. 그의 긴축 정책은 경제 위기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으나, 사회적 불만을 심화시켜 나치당의 부상을 도왔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긴급명령권을 남용한 것은 민주주의적 절차를 약화시켰다는 평가도 있다. 반면, 혼란스러운 시국에 경제 안정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옹호론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