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12건

어미

어미는 한국어의 굴절 형태소 중 하나로, 용언(동사, 형용사)의 어간 뒤에 붙어 다양한 문법적 기능(시제, 상, 높임, 종결 등)을 나타내거나 의미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미는 홀로 쓰일 수 없으며, 반드시 어간에 붙어서만 사용된다.

종류

어미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선어말 어미: 어미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며, 높임, 시제 등을 나타낸다. 예) '-(으)시-', '-겠-' 등

  • 어말 어미: 어미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며, 문장을 종결하거나 다른 어미와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어말 어미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종결 어미: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한다.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등으로 나뉜다. 예) '-다', '-까', '-라', '-자', '-구나' 등
    • 연결 어미: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대등하게 이어주는 대등적 연결 어미, 종속적으로 이어주는 종속적 연결 어미,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등을 만드는 전성 어미 등이 있다. 예) '-고', '-아서/어서', '-(으)ㅁ', '-(으)ㄹ', '-게' 등
    • 전성 어미: 용언의 성격을 바꾸어 다른 품사처럼 기능하게 한다. 명사형 전성 어미, 관형사형 전성 어미, 부사형 전성 어미 등이 있다. 예) '-(으)ㅁ', '-(으)ㄹ', '-게' 등

기능

어미는 문장 내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문법적 관계 표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의 문장 성분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 의미 변화: 용언의 기본적인 의미에 다양한 뉘앙스를 더하거나 의미를 제한한다.
  • 문장 구조 형성: 문장을 연결하거나 절을 만들어 복잡한 문장 구조를 형성한다.
  • 화자의 의도 표현: 화자의 태도, 감정, 청자에 대한 높임 등을 드러낸다.

예시

  • 먹다: 어간 '먹-' + 어미 '-다' (종결 어미, 평서형)
  • 먹었다: 어간 '먹-' + 선어말 어미 '-었-' (과거 시제) + 어미 '-다' (종결 어미, 평서형)
  • 먹고: 어간 '먹-' + 어미 '-고' (연결 어미, 대등적 연결)
  • 먹음: 어간 '먹-' + 어미 '-(으)ㅁ' (전성 어미, 명사형)

어미는 한국어 문법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며, 어미의 종류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에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