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떡고물

떡고물은 떡의 겉면에 묻히거나 뿌려 떡의 맛과 풍미를 더하는 가루 형태의 고명을 의미한다. 주로 곡물 가루, 견과류 가루, 씨앗 가루 등을 사용하며, 종류에 따라 단맛, 고소한 맛, 짭짤한 맛 등 다양한 풍미를 낸다. 떡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떡고물이 사용된다.

종류

떡고물은 주재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콩고물: 볶은 콩을 가루로 만든 것으로, 떡의 고소한 맛을 더한다. 인절미, 콩떡 등에 주로 사용된다.
  • 팥고물: 팥을 삶아 으깬 후 설탕 등으로 간을 하여 만든다. 시루떡, 팥떡 등에 사용된다.
  • 깨고물: 볶은 깨를 빻아 만든 것으로, 깨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을 더한다. 깨송편, 깨찰빵 등에 사용된다.
  • 카스테라 고물: 카스테라 빵을 가루로 만들어 고물로 사용하기도 한다.
  • 녹두고물: 녹두를 불려 삶아 껍질을 벗기고 빻아 만든다. 거피팥고물과 함께 시루떡에 많이 사용된다.
  • 찹쌀고물: 찹쌀가루를 쪄서 만든다. 찰떡이나 부꾸미 등에 사용된다.

이 외에도 호박고지, 대추, 밤, 잣 등의 견과류를 다져서 떡고물로 사용하기도 한다.

용도

떡고물은 떡의 맛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시각적인 효과: 떡의 색감과 질감을 다양하게 만들어 식감을 돋우는 효과가 있다.
  • 영양 보충: 곡물, 견과류, 씨앗 등으로 만들어져 떡에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해준다.
  • 수분 흡수: 떡의 표면에 묻어 떡이 마르는 것을 방지해준다.

기타

속담이나 관용구에서 '떡고물'은 주로 이익이나 혜택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떡고물이 떨어지다"는 예상치 못한 이익을 얻게 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