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식 토기
가락식 토기는 신석기 시대 후기부터 청동기 시대 전기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된 빗살무늬토기의 일종이다.
개요
가락식 토기는 빗살무늬토기의 변형된 형태로,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사용되었다.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명칭이 유래했으며, 빗살무늬토기보다 문양이 간소화되고,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진 형태가 특징이다. 주로 곡물 저장이나 음식 조리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 형태: 밑이 뾰족한 원추형 또는 계란형 형태가 일반적이며,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져 있다.
- 문양: 빗살무늬가 단순화되어 가로 또는 세로로 짧게 새겨지거나, 점선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빗살무늬 외에 파문, 사선문 등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이 나타나기도 한다.
- 제작: 점토를 띠 모양으로 쌓아 올리는 윤적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은 후 문양을 새겨 넣었다.
- 지역적 변이: 지역에 따라 형태, 문양, 크기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분포
가락식 토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중서부 지역에서 많이 출토된다.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서울 암사동 유적, 김포 장릉산 유적, 춘천 교동 유적 등이 있다.
의의
가락식 토기는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청동기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빗살무늬토기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새로운 형태와 문양을 보여줌으로써, 당시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