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산
폐광산은 경제성이 낮아 더 이상 채굴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광산을 의미한다. 광맥의 고갈, 채산성 악화, 정책 변화, 기술 발전 등 다양한 요인이 폐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징
폐광산은 더 이상 자원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과거 채굴 활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갱도, 채굴 시설, 광미 적치장, 관련 건축물 등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환경 문제
폐광산은 다음과 같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광산 배수: 폐광된 광산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산성 성분과 중금속을 함유하여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를 광산 배수(Acid Mine Drainage, AMD)라고 한다.
- 지반 침하: 지하 채굴로 인해 지반이 약해져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 토양 오염: 광미 적치장에서 유출된 물질이나 채굴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 물질이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
- 대기 오염: 광산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먼지나 가스가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활용 방안
폐광산은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적절한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관광 자원: 폐광산의 독특한 경관과 역사적 가치를 활용하여 관광 자원으로 개발할 수 있다. 갱도 체험, 광산 박물관, 예술 공간 조성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
- 에너지 저장 시설: 폐광된 갱도를 활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설을 구축할 수 있다. 양수 발전, 압축 공기 에너지 저장(CAES) 등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 연구 시설: 폐광산은 지하 환경 연구, 지질학 연구, 미생물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시설로 활용될 수 있다.
- 친환경 공간: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여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다.
관련 법규
폐광산과 관련된 법규는 다음과 같다.
-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
- 폐광지역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같이 보기
- 광업
- 광산 배수
- 광산피해
- 지반 침하
- 생태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