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변형충류
원변형충류 (原變形蟲類, Archamoebae)는 아메바류에 속하는 생물 그룹 중 하나로, 진핵생물에 속한다. 과거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없거나 극히 퇴화된 형태를 가진 원생생물로 여겨졌으나,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차적으로 미토콘드리아를 잃어버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엑스카바타 (Excavata) 그룹에 속하는 메타모나다 (Metamonada)와 같은 '원시 진핵생물'과는 계통적으로 구별된다.
원변형충류는 주로 혐기성 환경에서 서식하며, 토양, 담수, 동물 내장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된다. 일부 종은 자유 생활을 하지만, 일부 종은 동물 기생 생활을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사람에게 아메바성 이질을 일으키는 병원성 아메바인 엔타메바 히스톨리티카(Entamoeba histolytica)가 있다.
원변형충류의 분류는 아직 진행 중이며, 형태학적 특징 외에도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검토되고 있다. 현재까지 엔타메바속 (Entamoeba), 마스테리고아메바속 (Mastigamoeba), 마스테리고아메바옵시스속 (Mastigamoebaopsis), 엔돌리막스속 (Endolimax) 등이 원변형충류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속은 각각 고유한 형태와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다.
원변형충류는 진핵생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획득과 상실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병원성 아메바와 관련된 질병 연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