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80,050건

그레샴의 법칙

그레샴의 법칙 (Gresham's Law)은 경제학에서 "악화(惡貨)는 양화(良貨)를 구축한다"는 말로 요약되는 화폐 이론이다. 즉, 액면가치는 같지만 실제 가치가 다른 화폐가 동시에 유통될 경우, 사람들은 실제 가치가 높은 화폐(양화)는 보관하고 실제 가치가 낮은 화폐(악화)만을 유통시키려 하기 때문에 결국 악화만 시장에 남게 된다는 것이다.

개요

16세기 영국의 재정가였던 토머스 그레샴 (Thomas Gresham) 경이 엘리자베스 1세 여왕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레샴 이전에도 이미 유사한 개념이 논의되었다. 그레샴의 법칙은 화폐뿐만 아니라 품질 차이가 있는 재화나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원리

그레샴의 법칙은 사람들이 합리적인 경제 주체라는 가정하에 작동한다. 즉, 사람들은 동일한 액면가치를 가진 두 종류의 화폐 중 더 가치 있는 화폐를 즉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은 함량이 높은 은화와 은 함량이 낮은 은화가 동일한 액면가치로 유통될 경우, 사람들은 은 함량이 높은 은화를 보관하고 은 함량이 낮은 은화만을 유통시키려 한다. 시간이 지나면 은 함량이 높은 은화는 시장에서 사라지고 은 함량이 낮은 은화만 남게 된다.

적용

그레샴의 법칙은 다양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환율 제도를 유지하려는 국가에서 통화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 (투기적 공격)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자국 통화를 팔고 외국 통화를 사들여 자국 통화의 가치 하락을 가속화시킨다. 또한, 품질이 낮은 제품이 품질이 높은 제품보다 더 많이 판매되는 현상도 그레샴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비판

그레샴의 법칙은 언제나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정부가 특정 화폐의 사용을 강제하거나,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어 악화가 양화보다 더 선호될 경우, 그레샴의 법칙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보의 부족이나 거래 비용의 존재로 인해 사람들이 화폐의 실제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할 경우에도 그레샴의 법칙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